01 멘토 소개
전창현
Infra 기술 Location
•
대학원 석박사 과정, 지능형 이동로봇, 머신러닝, Computer vision, Sensor fusion 관련 프로젝트 수행
•
Robotics, Computer vision 관련 대학원 강의 경험
•
현재 Visual Localization 관련 프로젝트 업무
02 프로젝트 소개
개발 배경
공간 이해
•
이 프로젝트를 통해, 스마트폰 사진을 이용하여 실 생활의 공간을 이해하는 기술을 개발하려고 합니다.
•
그 과정으로 Visual localization에 사용할 POI 인지와 POI 변화 감지의 기술을 개발하려 합니다.
•
공간 이해를 통해, 실 생활의 공간을 디지털로 전환하는 기술인 메타버스(metaverse) 및 digital twin을 더 정교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.
Visual Localization
•
사람은 눈으로 (vision) 공간을 이해합니다. 박쥐처럼 초음파을 쏘거나 로봇처럼 레이져를 사용하지 않죠.
•
그 중에서, 사람이 눈으로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Visual localization 이라고 합니다.
•
이 프로젝트를 통해, Visual Localization에서 Semantic한 정보를 활용하여 Understanding으로 발전하고자 합니다.
3차원 데이터를 활용한 Visual Localization 예시(Google Maps)
POI 인지
•
POI는 Points-of-Interest의 약자로 의미가 있는 공간지점을 의미합니다.
•
실 생활의 공간을 위치나 의미를 인지하는 기술에선 POI 인지가 중요합니다.
•
사람이 간판이나 이정표를 보고 내가 어디에 있는지 알고, 주변의 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것이 예가 되겠습니다.
•
자율주행 자동차가 표지판을 보고 그 내용을 인식하는 예도 있습니다.
•
스마트폰 사진에서 POI를 찾고,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을 개발하려고 합니다.
POI 인지의 예: 테슬라 자율 주행 자동차의 간판 인지 모습 (https://boingboing.net/2020/01/31/heres-what-full-self-driving.html)
POI 변화 감지
•
실제 공간은 다양한 이유로 변합니다. 공사를 통해 다른 건물이 새워지거나, 기존 건물에 다른 가게가 입점하기도 합니다.
•
그러면 실제와 같게 동기화를 해야하는데, 그 시작이 변화 감지 기술입니다.
•
같은 장소에서 시간 간격을 두고 촬영된 이미지로 POI가 변화 했는지 감지하는 기술을 개발하려고 합니다.
개발 목표
•
스마트폰 이미지에서 POI를 인지하는 기술을 개발한다.
•
시간 간격을 두고 촬영된 스마트폰 이미지에서 POI 변화를 감지하는 기술을 개발한다.
•
POI 인지 및 변화 감지 기술을 Visual localization 기술에 적용해본다.
추후 활용 계획
•
Visual Localization (보행자 길안내) 기술에 공간 이해 모듈로 활용
•
Smart Building/Factory, 로봇/드론, 자율주행 차량의 위치 인식 및 길 찾기 활용
•
대면적 AR 서비스 활용
•
meatavere, digital twin 활용
03 이런 fellow를 찾습니다
•
이미지 기반 딥러닝 모델 구현 경험이 있으신 분
•
Computer Vision, 머신러닝, 딥러닝 관련 기술과 활용에 호기심과 관심이 있으신 분